건물 배출량 활용 사례

  • Home
  • 탄소공간지도 활용 사례
  • 건물 배출량 활용 사례

탄소공간지도 활용 데이터

시간적 범위
2022년
공간적 범위
500m × 500m
격자
데이터명
건물부문(전기, 가스)
탄소배출량 데이터

태양광 설치 후보지 선정

  • 탄소배출량 데이터에 기반한 핫스팟(Hotspot) 분석을 수행하여, 탄소배출이 집중된 지역을 우선적으로 선정
  • 제주특별자치도 내 일도이동 및 삼도이동 인근 지역이 주요 탄소배출 지역으로 나타나 우선 분석대상지로 선정

건물부문 탄소배출량

핫스팟 분석결과(건물부문)

태양광 설치 가능 지역 분석 및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온실가스 감축 효과 분석

건물 옥상 면적, 일조량, 주변 장애물 등 다양한 건축물 정보를 탄소배출량 데이터에 융합하여 태양광 발전이 적용될 경우 감축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되는 건물을 구체적으로 분석

태양광 발전을 통한 연간 탄소 감축량을 산출하고, 이를 활용한 감축량 효과 평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