수송 배출량 활용 사례

  • Home
  • 탄소공간지도 활용 사례
  • 수송 배출량 활용 사례

탄소공간지도 활용 데이터

시간적 범위
2022년
공간적 범위
500m × 500m
격자
데이터명
수송부문(level6)
탄소배출량 데이터

친환경 버스 전환
후보지 선정

  • 탄소배출량 데이터에 기반한 핫스팟(Hotspot) 분석을 수행하여, 탄소배출이 집중된 지역을 우선적으로 선정
  • 분석결과 제주특별자치도 내 일도이동 및 삼도이동 인근 지역과 201번, 202번, 281번, 282번, 365번 노선이 주요 탄소배출 지역으로 나타나, 분석 후보지로 선정

수송부문 탄소배출량

핫스팟 분석결과(수송부문)

친환경(전기, 수소)버스 우선 전환 대상지 도출 및 탄소 감축 효과 분석

버스 이용객 수, 운행 거리, 노선별 탄소 배출량, 대기오염 수준 등 다양한 지표를 고려하여 전환이 필요한 지역을 선정

주요 간선 지선 버스 노선 중 탄소 감축 효과가 가장 클 것으로 예상되는 201, 202, 281, 282 노선을 친환경버스 전환 대상지로 최종 도출

친환경(전기·수소) 버스 전환 시 탄소 배출 저감 효과를 비교 분석하고, 친환경 버스 도입 기여도 평가